원문출처: http://benefitmag.kr/10433
공유경제의 주인이 되는 4가지 방법 -(2) 공구 도서관을 만들자!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시민생활과 밀접한 20개 공유사업 중에는, 공구대여도 포함되어 있다. ‘동네공방 프로젝트’라는 친근한 이름의 프로젝트는, 생활물품을 수리하고 공구등을 대여하는 동네공방 설치를 확대한다는 의도다.(출처: 서울특별시청) 이를테면, 자전거도 동네공방에 가서 수리하고, 결혼식 액자 벽에 걸어달라는 아내의 말에 ‘나만 믿어!’라고 외치며 공구를 찾았지만 드릴은 커녕 망치도 없을때 이용하면 된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13년에 4개소, 14년까지 기다려야 25개가 설치될 예정이라고 하니, 망치를 하나 사는게 빠를 수도 있다.
그래서 이번에는, 공유경제의 개념을 갖춘 당신이 동네의 공구도서관이 될 것을 제안한다. 지난번 ‘공유경제 이벤트’ 가이드라인에 이어 두번째 시간이다. 공구 도서관은 이벤트 개최보다 약간 더 고난이도의 노력과 협업, 기업가 정신이 필요하다. 본 가이드라인은 미국의 ‘The center for a New American dream’가 제안한 가이드라인이며 크리에이티브 커먼즈에 의하여 공유가능하도록 되어있다.
2. 공구 도서관을 만들자!
2-1 관심있어하는 공동체 멤버를 찾아라.
주변에서 공구도서관 아이디어에 관심있어 하고, 실행한다면 돕고싶어하는 사람을 찾아라. 이웃, 친구, 그리고 신자, 학교, 주택보유자 연합 등의 멤버들에게 얘기하고 계획 단계나 착수 자금 기부로 관여하도록 부추겨라.
2-2 회의를 열고 핵심팀을 지정하라
첫 번째 회의에서 프로젝트의 기본 척도 뿐아니라 공구도서관에 대한 당신의 비젼을 논하라. 처음에 얼마나 많은 도구를 제공하고 싶은가? 작업장이나 작업공간도 제공하고 싶은가? 장소의 조건은 무엇인가? 프로젝트를 발전시키기 위한 핵심팀을 찾고 재무, 법률 전문가, 멤버쉽과 봉사활동 코디네이터, 자원봉사 코디네이터 와 도구 코디네이터와 같은 중요 역할을 정하라.
2-3 조직 구조를 만들어라
공구도서관이 어떤 형식을 취할지 결정하라. 공공도서관이나 인보회같은 현존하는 조직의 프로젝트 혹은 동기부여된 자원봉사자들에 의해 유지되는 더욱 비공식적인 계획처럼 비영리여야 하는가? 또한, 직원채용의 수요를 고려하라. 적어도 한명의 유급직원(도구 코디네이터)을 갖는 것이 조직을 순조롭게 운영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쯤에서 공공기관의 도움을 받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이를테면 서울시의 ‘천만상상 오아시스’ 같은 제안 장치를 이용해 볼 수도 있다.
2-4 착수 기금의 원천을 정하라
미국의 초기 공구도서관 중 하나인 버클리 공구도서관(Berkeley Tool Lending Library)은 1979년 30,000달러의 공동체 정액 보조금으로 시작했다. 하지만 당신은 다른 공공 재원, 사설 재단, 기업과 개인들에게서 재정 지원을 구할 수 있다. 계속 발생하는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적당한 멤버십 요금을 부가할 수도 있다. 비록 대부분은 무료일지라도. 자율 요금제도도 좋은 방법일지도 모른다. 도구를 빌리는 것이 무료라고해도 연체료나 물건을 잃어버리거나 망가트리는 것에 대한 대체요금을 받는 것도 유용하다.
2-5 회원을 한정하라.
‘이 공구 도서관은 00아파트 주민들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라고 회원의 범위를 규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의 Temescal Tool Lending Library는 지역의 공공 도서관 역할을 하고 도시의 거주자와 부동산 주인들에게 도구들을 제공한다. 해당 공동체에 대해 그리고 이 계획이 어떻게 사람들의 요구를 가장 잘 충족시킬지 폭넓게 생각하라.
2-6 대여자들에 대한 기본원칙을 세워라
멤버십정책의 명확한 리스트를 만들어라. 예를 들어, “모든 대여자들은 최소한 18세 이상이여야 한다.” “책임 계약서에 서명해야 한다.” “한번에 8개이상의 도구를 빌릴 수 없다.” 등이다. 현장에서 사용되야하는 장비(이를 테면 ‘드릴’)에 대해서는 대여자에게 안전교육을 실시한다.
2-7 물품을 모으고 목록을 만들어라.
물론 최고의 선택은 새로운 공구로 구매하는 것이다. 하지만 지역의 건축업자, 도급업자 또는 소매업자들은 낡은 장비를 기부하는 것에 거부감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반드시 공구의 상태를 체크하는 것은 필수다. 당신의 예산에서 최소한 10퍼센트를 장비 유지, 보수와 교환에 할당하라. 모든 물건에 당신의 공구도서관 이름을 새기고 빠른 목록화를 위한 ID number를 칠하라. 스프레드 시트를 이용하면 관리가 편할 것이다. 도구를 반납받으면 사용이 잘 되는지 확인하고 깨끗하지 못한 물건에 대해서는 요금을 부가하는 것을 고려하라. 주기적으로 니즈 파악을 위해 회원들에게 여론조사를 하라.
2-8 공동체의 연결을 만들어라.
공유경제, 즉 공구 도서관의 목적중 하나는 공동체를 만드는 것이다. 직원이 고객들에게 의식적으로 빌려가는 공구로 무엇을 할 것인지 물어보고, 사람들이 올바른 도구를 가져가는지, 그것을 사용하는 법을 아는지 확인하는 방법이다. 이런 사소한 대화와 사용법 설명등이 공동체를 만드는 단초가 된다.
2-9 소문내자.
전편의 이벤트와 마찬가지로, 사람들을 자극하고 참여시킬 방법으로 미디어와 대외 전략을 개발해라. 중요한 단계에 이르면 기자에게 연락하고 보도자료를 보내라. 고객들에게 그들의 프로젝트를 기록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그들의 이야기를 공유하게 장려해라. 가장 중요한 것은 당신의 서비스를 광고해서 사람들이 더욱 자유롭게 공구도서관을 사용하고 당신의 노력을 지원하고 싶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2-10 당신의 성공을 축하하라.
공구 도서관이 활성화 될수록 당신의 성과를 축하할 필요가 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고 싶도록 만들기 위해 당신의 고된 일을 인정하고 너의 노력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기념행사를 열어라.
(1) 지역사회 공유경제 이벤트의 주인으로 거듭나자!
(3) 시간과 노동력, 기술을 공유하자!
Photo(CC) via coryrunk / flickr.com
'만물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같은 공간 다른 작업’ 공동 사무실이 뜬다/경향신문/2010.6.21/김기범> (0) | 2013.05.18 |
---|---|
공유경제의 주인이 되는 4가지 방법 (0) | 2013.05.10 |
co-working space 동영상 (0) | 2013.05.10 |
<알음알음 찾아오는 소문난 독서모임/아시아경제/김수진/2013.02.25> (0) | 2013.04.30 |
<부산 인문학 뿌리와 현장/국제신문/이일래/2013.3.12> (0) | 2013.04.28 |